Python 참조/Python 책정리

Chapter5 표준 입출력문

Snowboarder 2022. 5. 2. 01:14
  • 키보드로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표준 입력'이라고 하고, 모니터로 출력하는 것을 ' 표준 출력'이라고 합니다. 표준 입력은 input()함수를 이용하고, 표준 출력은 print() 함수를 사용합니다. 5장에서는 input(),print()함수의 사용법을 자세히 학습하시길 바랍니다.
  • 학생들의 성적을 처리하려고 할때 방법이 두가지가 있다.
    1. 성적을 일일이 키보드로 입력하는 방법
    2. 파일에 모든 학생들의 성적을 저장하고 성적 처리 프로그램이 자동으로 파일을 읽어 들이도록 하는 방법

1. print() 함수를 이용하여 표준 출력하기

  • 아홉 가지 자료형 객체는 모두 print() 함수의 괄호에 넣어서 출력할 수가 있습니다.
  • 정수 출력하기
    • print() 함수에 변수를 넣으면 그 변수에 저장된 값이 출력됩니다.
    • 콤마 자리에 스페이스가 한 개 들어갑니다.
  • 실수 출력하기
  • 복소수 출력하기
  • 부울 출력하기
  • 리스트 출력하기
  • 튜플 출력하기
  • 집합 출력하기
    • 중복 데이터는 한 번만 출력되고 저장된 순서대로 출력되지 않을 수 있음
  • 사전 출력하기
  • 문자열 출력하기
  • 특수문자 출력하기

print() 함수 내에 end, sep 매개변수 사용하기

  • print() 함수는 괄호 안에 내용을 출력한 후에 ' [Enter]' 가 기본으로 적용된다.
  • '[Enter]'를 없애려면 괄호 안에 'end'매개 변수를 추가하면 된다.
  • 콤마 자리에 스페이스가 아닌 다른 문자열을 넣고 싶으면 'sep' 매개변수를 사용하면 된다.

2. print() 함수에 % 기호를 이용하여 포맷팅하기

  • 포맷팅: 줄 맞춰서 출력하는 것
  • 포맷팅을 이용해서 원하는 형태로 출력하는 방법
    1. % 기호 이용하기
    2. 문자열 자료형의 format() 메소드 이용하기
    3. format() 내장 함수 이용하기
  • print(' ' %( ))
  • 앞에는 %d, %f, %s기 올 수 있습니다.
  • 앞에 %d, %f, %s 개수 만큼 데이터가 와야 합니다.

3. 문자열 format() 메소드를 이용하여 출력하기

  • { } . { 숫자 } , { 변수 } 세가지 패턴이 있다.
  • ' { } { } { } '.format( )
  • format() 메소드에 정수 포맷 넣기
    • {} 자리에 format 인수가 들어간다.
    • 정수가 들어가는 경우에는 {:자리 수d}의 형태로 자리 수를 정해 줄 수 있다.
      • < : 왼쪽 정렬
      • : 오른쪽 정렬
      • ^ : 가운데 정렬
      • = : 숫자의 부로(+ , -)를 가장 왼쪽에 정렬
  • format() 메소드에 실수 포맷 넣기
    • 10.5f는 10자리를 잡아서 소수점 이하 5자리까지 출력하라는 의미
  • format() 메소드에 문자열 포맷 넣기
    • < , > , ^ 앞에 어떤 문자가 오면 빈 공간을 그 문자로 채우라는 뜻이다.

4. input() 함수를 이용하여 입력하기

  • input() 함수의 특징: 입력 받은 자료를 무조건 문자열로 처리한다.

5. 정리

  • 표준 입력: 키보드로 데이터를 입력 받는 것
  • 표준 출력: 모니터로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

'Python 참조 > Python 책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apter7 while 반복문[중요]  (0) 2022.05.03
Chapter 6 if 조건문 [중요]  (0) 2022.05.02
Chapter4 문자열자료형  (0) 2022.05.02
Chapter3 수치자료형과 연산자  (0) 2022.05.02
Chapter2 객체, 변수 , 자료형  (0) 2022.0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