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separator
print("안녕하세요.", "공부하는 도비입니다.")
라고 코딩을 작성하게 되면, 출력 결과 : 안녕하세요.공부하는 도비입니다.
이런 식으로 띄어쓰기되지 않은 채 출력이 됩니다.
이럴 때, sep 옵션을 사용하게 되면 원하는 값을 한 줄에 출력할 수 있습니다.
print('2020','05','04',sep='-')
#출력 : 2020-05-04
print('공','부','하','는','도','비',sep=' ')
#출력 : 공 부 하 는 도 비
print('yang-wistory1009','tistory','com',sep='.')
#출력 : yang-wistory1009.tistory.com
sep = "내용" 형식으로 사용하시면 됩니다. ("과' 둘 다 사용 가능합니다.)
2. end
print는 기본적으로 출력하는 값 끝에 \n을 붙이고, print를 여러 번 사용하면 출력하고자 하는 문장이 여러 줄에 출력됩니다. 예를 들어서,
print("공부하는")
print("도비")
print("입니다.")
#출력 :
#공부하는
#도비
#입니다.
그렇다면, print를 여러 번 사용해서 한 줄에 여러 개의 문장(값)을 출력할 수 없을까요?
이때는 end를 사용해주면 됩니다.
print("공부하는", end = " ")
print("도비", end = " ")
print("입니다." )
#출력 : 공부하는 도비 입니다.
즉, end는 현재 print가 끝난 뒤 그다음에 오는 print 함수에 영향을 주게 됩니다.
저는 예제에 공백 한 칸을 주었고, 문장이 출력될 때는 띄어쓰기처럼 보이게 코드를 작성하였습니다.
'Python 참조 > 함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sort() 와 sorted() 차이 (0) | 2022.09.17 |
---|---|
[python] 파이썬 람다(lambda) 함수 설명 및 예제 (0) | 2022.05.05 |
[python] 파이썬 find 함수에 대해서 (0) | 2022.03.23 |
[python] 파이썬 map 함수 사용법과 예제 (0) | 2022.02.16 |
[python] 파이썬 split 함수 정리 및 예제 (0) | 2022.02.15 |